From Our Blog

한겨레 칼럼 [삶의 창] 남북의 손말·수어

19/03/02이길보라독립영화감독·작가 베를린에 다녀왔다. 농인 디자이너이자 활동가 조혜미를 만나기 위해서였다. 그녀는 덴마크에서 학교를 졸업하고 독일로 거처를 옮겨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는데 그중 하나가 북한 농인을 돕는 단체 ‘투게더 함흥’과 한독 시민단체Continue reading한겨레 칼럼 [삶의 창] 남북의 손말·수어

한겨레 칼럼 [삶의 창] 몸의 기억

19/02/02이길보라독립영화감독·작가 독일과 네덜란드에서 교환학생을 하는 친구 둘이 놀러 왔다. 한명은 5개월간의 학기를 마치고 한국으로 돌아갈 예정이었고, 다른 하나는 곧 1년이 되는데 돌아가고 싶지 않아 캐나다 워킹홀리데이 비자를 신청했다고 했다. “한국Continue reading한겨레 칼럼 [삶의 창] 몸의 기억

한겨레 칼럼 [삶의 창] 다음 영화, 찍을 수 있을까?

19/01/05 이길보라독립영화감독·작가 지난해 10월에 열린 제23회 부산국제영화제에서는 여성 감독과 여성 영화의 약진이 두드러졌다. 특히 다큐멘터리 영화를 소개하는 와이드앵글 섹션 ‘다큐멘터리 경쟁’ 부문에서는 한국 여성 감독 세 명의 작업이 소개되었고, 극영화Continue reading한겨레 칼럼 [삶의 창] 다음 영화, 찍을 수 있을까?

한겨레 칼럼 [삶의 창] 열린 질문

2018/12/08 이길보라 독립영화감독·작가 네덜란드 영화학교에서의 세번째 학기를 여는 나의 질문은 이것이었다. “나의 관심사는 온통 한국에 있는데 현재 네덜란드에서 석사과정을 하는 나는 어떻게 나의 연구를 해나갈 수 있을까?” 이곳에서의 매 학기는Continue reading한겨레 칼럼 [삶의 창] 열린 질문

한겨레 칼럼 [삶의 창] 네덜란드의 바람이 만든 에너지

2018/11/10 이길보라 독립영화감독·작가   동생이 사는 서울 집에 다녀왔다. 집에 도착하자마자 싱크대 위에 놓인 커다란 비닐봉지로 포장된, 마치 선물처럼 보이는 무언가가 내 눈을 사로잡았다. 이것이 무엇인고? 탐색을 시작했다. 반짝이는 투명Continue reading한겨레 칼럼 [삶의 창] 네덜란드의 바람이 만든 에너지

한겨레 칼럼 [삶의 창] 1968년과 2018년 사이

2018/09/15 이길보라 독립영화감독·작가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으로 돌아왔다. 불과 몇주 전이지만 한국에서 있었던 일이 아주 멀게만 느껴진다. 영화 후반작업을 위해 방문했던 한국에서 시간을 쪼개 ‘#미투시민행동’이 주최한 5차 성폭력 성차별 끝장집회에 나갔다.Continue reading한겨레 칼럼 [삶의 창] 1968년과 2018년 사이

한겨레 칼럼 [삶의 창] 여성에게 국가는 없다

2018/08/18 이길보라 독립영화감독·작가   이번 칼럼은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서 있었던 게이 프라이드의 한 장면에 대해 쓸 생각이었다. 전세계적으로 유명한 이 축제는 행사 기간만 되면 무지개 색깔로 도시를 가득 채운다. 수많은 관광객으로Continue reading한겨레 칼럼 [삶의 창] 여성에게 국가는 없다

한겨레 칼럼 [삶의 창] “헷갈리니까 기다려요”

2018/07/21 이길보라 독립영화감독·작가   멘토가 당일치기 하이킹을 제안했다. 네덜란드의 수도 암스테르담에서 기차로 30분 정도 떨어진 곳에 위치한 위트레흐트 근교를 걷는 코스였다. 17세기 초에 만들어진 뉴홀랜드 해자를 따라 걸었다. 땅을 파Continue reading한겨레 칼럼 [삶의 창] “헷갈리니까 기다려요”

한겨레 칼럼 [삶의 창] 푸시 펜던트와 노브라

2018/06/23 이길보라 독립영화감독·작가   한국에서 온 지인과 암스테르담 시내를 걷는 중이었다. 대로변 집 창문에 걸린 분홍색의 무언가가 내 눈을 사로잡았다. ‘푸시 펜던트’(Pussy pendant)였다. 말 그대로 여성의 성기 모양을 한 목걸이들이Continue reading한겨레 칼럼 [삶의 창] 푸시 펜던트와 노브라